본문 바로가기

IT/Information

연결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뜨는 이유

스마트 기기를 이용 하시다보면 공용 및 타인의 와이파이를 이용하실 때가 많은데요.


간혹 와이파이(Wifi)로 연결하여 인터넷을 쓰려고 하면, 연결은 잘 됐는데, 인터넷이 안되면서, 화면 하단에 "연결된 "xx"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노트북이나 iOS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위의 메시지는 아니지만 인터넷 접속 불가 메시지를 표시해주는데,


이번 포스팅은 왜 인터넷이 안되는 지 짤막한 글을 적어봅니다.


가장 먼저 기초적으로 스마트기기까지 와이파이가 연결 되는 통로(경로)를 살펴보면,


ISP(흔히 인터넷 제공 회사인 SKT, KT, LGT) -> 서버,공유기,모뎀, 컴퓨터 등 인터넷 송수신 단말기 -> 스마트기기 의 순으로 인터넷이 접속되어 송수신이 이뤄집니다.


흔히 인터넷이 안된다고 하면, "ISP(흔히 인터넷 제공 회사인 SKT, KT, LGT) -> 서버, 공유기, 모뎀, 컴퓨터 등 인터넷 송수신 단말기"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와 "서버, 공유기, 모뎀, 컴퓨터 등 인터넷 송수신 단말기 -> 스마트기기" 사이에 문제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될 수 있겠죠.


다만 스마트기기에서 와이파이까지 연결은 잘 됐으니, 문제가 발생한다면, 아무래도 "ISP(흔히 인터넷 제공 회사인 SKT,KT,LGT) -> 서버, 공유기, 모뎀, 컴퓨터 등 인터넷 송수신 단말기" 사이에 문제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간혹 ISP 측의 문제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ISP와 연결된 서버, 공유기, 모뎀과 같이 인터넷 송수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인데요.


대부분의 이 문제는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기 위해 걸어둔 보안 장치로 단말기 주인(Host)측에서 허락된 스마트기기 내에서만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둔 것이죠.


카페에서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이용하려고 하면 주문 하는 곳에서 그 카페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볼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과 달리 기기의 고유 주소(MAC Address)를 등록하여, 비밀번호를 따로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 포스팅 제목과 같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규모가 있는 회사나 관공서는 처음에는 직원 ID와 패스워드로 접속하게 하고 전산실에서 MAC Address를 등록하여 다음에는 따로 직원 ID와 패스워드 입력하지 접속하게 해주죠.)


이런 경우가 흔히 보는 기지국 무료 와이파이 제한으로 타 통신사의 무료 와이파이를 접속하지 못하는 이유가 이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죠.


개방된 와이파이에 접속하여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 때문에 혹시나 스마트기기나 인터넷이 문제가 생겼다고 생각이 드시는 분들을 위한 포스팅으로 가정에서 쓰는 공유기가 이런 문제를 일으킨다면 접속 가능한 기기 등록을 풀어보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무리 합니다.


[관려포스트]

--남이 우리집 와이파이 못 쓰게 하기(WiFi 암호화)

--스마트폰 와이파이 5G 또는 2.4G 우선으로 잡기

--WIFI(와이파이) 우선 순위 지정 하는 법 -WIFI Prioritizer-

--우리집 최적의 와이파이(WIFI) 채널(Channel)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