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주소창은 URL 주소를 입력하기도 하지만 기본값으로 된 검색 엔진도 같이 이용하고 있어 URL 주소가 아닌 내용은 자동으로 검색어로 인식하여 검색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간혹 URL주소를 잘못 입력하면 구글 검색 내용을 표시해주는 이유가 제대로 된 URL 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죠.
그럼 여기서 다른 포털 사이트는 검색을 못하냐? 라는 의문이 생길 텐데, 결론은 가능합니다. 구글 대신 기본 검색 엔진으로 사용 할 수도 있으며, 키워드를 등록해 놓으면 '키워드 검색어' 형식으로 주소창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죠.
이번 포스팅은 주소창에서 바로 원하는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방법과 키워드를 통해 다양한 사이트의 검색 엔진을 끌어 쓸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검색 엔진을 등록하려면 해당 사이트의 검색엔진을 한 번 이상은 사용하셨어야 합니다. 그래야 크롬에서 검색 엔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이죠.
기본 검색 엔진 등록 방법
자 그럼 이제 설명에 들어가면, 먼저 크롬 설정에 들어갑니다.
설정 화면 하단에 내려 '검색엔진 관리' 항목을 눌러줍니다.
이때 기타 검색엔진에서 원하는 검색 사이트를 찾아 주세요.
찾은 뒤 해당 검색에 버튼을 눌러 '기본으로 설정' 메뉴를 눌러줍니다.
이제 주소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바로 기본 엔진를 사용한 검색 결과가 표시 됩니다.
추후에 다시 구글 검색을 기본 검색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버튼을 눌러 '기본으로 설정' 하시면 됩니다.
키워드를 통해 사이트 검색 엔진 사용 방법
다시 기타 검색 엔진 항목에서 원하는 사이트 검색 엔진을 찾고 버튼을 눌러 수정 메뉴를 눌러줍니다.
키워드 부분에 기존의 값보다 쉬운 키워드를 설정하시고,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저의 경우 naver.com에서 n으로 변경했습니다.)
이제 주소창에 '키워드 검색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키워드와 검색어 사이에 한 칸 띄어쓰기를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키보드로 'n' 입력후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주소창에 네이버 검색으로 검색 엔진 상태로 변경 되고, 다음으로 검색어를 입력하면 되는 것이죠.
'IT > TIP&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워진 구글 캘린더(Google New Calendar) 사용방법 (0) | 2017.10.19 |
---|---|
구글 세이프 서치(Google Safe Search) 해제 방법 (0) | 2017.10.12 |
Gmail에서 OneNote로 자동 메일 전달 하기 (0) | 2017.09.22 |
구글 데이터 백업(내보내기 다운로드, Google Taskout) (0) | 2017.09.14 |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 알림 받기 (0) | 2017.09.04 |
사이트(URL주소)별로 메모 할 수 있는 확장프로그램 (0) | 2017.08.30 |
구글 캘린더(Google Calender) 음력 표시 방법 (0) | 2017.08.04 |